• Home
  • About
    • Junseok photo

      Junseok

      개발자 블로그

    • Learn More
    • Facebook
    • Instagram
    • Github
  • Posts
    • All Posts
    • All Tags
  • Java
    • java-basic
    • java-solid
    • java-pattern
    • java-logging
  • Javascript
  • Angular
  • spring
    • spring-framework
    • spring-boot
    • spring-test
  • server
    • jeus
    • webtob
    • tomcat
  • test
    • junit
    • assertj
    • hamcrest
    • dbunit
    • spring
  • docker
  • unix
  • maven
  • db
  • network
  • eclipse
  • intellij
  • microservices
  • etc

ECMAScript6 기초문법

06 Jan 2018

Reading time ~2 minutes

HTML5 에서는 script 태그에 type 속성을 적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.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    <script>
        alert('start')
    </script>
</head>
<body>

</body>
</html>
html은 head태그를 먼저 실행하고 body태그를 실행한다.
주석
//주석문
/*
주석문
주석문
*/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    <!-- 주석입니다. -->
    <script>
    </script>
</head>
<body>
    <!-- <h1>주석입니다.</h1> -->
</body>
</html>
일치 연산자
  • === 양쪽 변의 자료형과 값이 일치합니다.
  • !== 양쪽 변의 자료형과 값이 다릅니다.

ECMAScript 6

  • 템플릿 문자열
  • let 키워드
  • const 키워드
템플릿 문자열과 표현식
<sciprt>
    alert(`표현식 273 + 52의 값은 ${52 + 273}입니다...!`);
</sciprt>

변수를 넣어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.
~~~javascript

var varialbe = 273;    alert(`표현식 273 + 52의 값은 ${varialbe}입니다...!`);
> 모든 버전의 익스플로러에서는 사용이 불가.  
> IE에서는 안되는 듯....


##### let 키워드와 const 키워드
> ECMAScript5까지는 '식별자에 값을 넣어 활용하기 위한 기능'이 'var키워드를 사용한 변수' 밖에 없었습니다.  
> ECMAScript6부터는 'let 키워드를 사용한 변수', 'const 키워드를 사용한 상수'라는 개념이 추가되었습니다.  


| 키워드 | 구분     | 선언 위치   | 재선언 |
| :---- | :------: | ---------: | -----: |
| var   | 2.3      | 전역 스코프 | 가능   |
| let   | 2.3      | 해당 스코프 | 가능   |
| const | 2.3      | 해당 스코프 | 불가능 |


##### 변수와 상수의 차이
~~~javascript
let variable = 273;
variable = 53; //가능
const variable = 273;
variable = 53; //불가능
상수 선언
const constant = 273; //가능
const constant; //불가능
  • example ~~~javascript <!DOCTYPE html>

#### 짧은 조건문
#### (<불 표현식>) && (<불 표현식이 참일 때 실행할 문장>)
~~~javascript
        function Abc(a, b, c) {

            console.log(a || 'a');
            console.log(b || 'b');
            console.log(c || 'c');
        }

        Abc(5, 6);

결과
5
6
c

do While

do 문장을 무조건 한번은 꼭 실행한다는 것만 기억하자.

var value = 0;
do {
    alert(value + '번째 반복문');
    value++;
} while (value < 5)

ECMAScript6

  • for of 반복문
          for (var num of [1, 2, 3, 4]) {
              console.log('배열의 해당요소는 ' + num);
          }
    

    역시나 IE에서는 오류..



javascript Share Tweet +1